분류 전체보기
정규표현식
정규표현식 이란?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 간단히 regexp 또는 regex) 또는 정규식은 특정한 규칙을 가진 문자열의 집합을 표현하는데 사용하는 형식 언어이다. 작성 방법 예제 예제1 - 전화번호 형식 (02|010)-\d{3,4}-\d{4} 02-123-1234 또는 010-1234-5678와 같은 전화번호를 위한 정규표현식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전화번호 형식이 맞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만드는 패턴인 것이다. (02|010):첫 번째 부분을 '( )'을 통해 그룹으로 표현해 주었고, 해당 부분에서는 전화번호의 앞부분이 02와 010이 와야한다고 지정한 것이다. '-'는 전화번호를 표현할 때 쓰는 기호이므로 생략하겠다. \d{3,4}: '\d'를 통해 숫자임을 표현하여..
Enum
Enum 이란? enum은 열거형(enumerated type)이라고 부르며, 서로 연관된 상수들의 집합입니다. 그렇다면 왜 Enum을 사용할까요? 상수 정의를 하는 여러 방법들을 통해 우리는 enum의 등장 배경과 사용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여러가지 상수 정의 방법(Enum의 등장 배경) 1) 단순 타입 지정 형태 private static final int APPLE = 1; private static final int PEACH = 2; private static final int BANANA = 3;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type = APPLE; switch (type){ case APPLE: System.out.println("app..
Static
왜 자바에서는 상수를 static final로 지정할까? Java에서는 상수표현을 static final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다들 그렇게 피드백 주신다. 그렇다면 왜 그래야할까? 여태 그냥 그런 가보다~ 하고 상수라면 응당 static final로 써왔는데 문득 의구심이 들었다. final은 변수가 아닌 상수 값이니 이해하겠는데, 왜 하필 static이어야 할까? static 이란? Static은 사전적 의미로 ‘고정된’을 뜻한다. 고정된 또는 정적 이라는 의미에 맞게 객체(인스턴스)에 소속된 멤버가 아니라 클래스에 고정된 멤버이다. 즉, 클래스 로더가 처음 클래스를 method area라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때 함께 저장한 다는 뜻이다. static 관련 메모리 아래는 java가 os에..
Junit5
Junit이란? JUnit5는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용 유닛 테스트 프레임 워크로 자바8이상부터 사용가능하다. 5버전은 이전 버전과 달리 (JUnitPlatform + JUnitJupiter + JUnitVintage)로 구성되어 있다. JunitPlatform: JUnit 플랫폼은 JVM에서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시작하기 위한 기반 역할을 한다.또 TestEngine(인터페이스)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테스트 API를 정의하여 주고,이를 바탕으로 만든 사용자 테스트 코드를 실행 가능하도록 해준다.(jUnit platfrom 엔진 제공) JunitVintage: JUnit 3 및 JUnit 4 기반 테스트를 실행 하기 위한 를 제공합니다. jUnitJupiter: JUnit Jupiter 는 JUnit 5에서 ..

HTTPS란?
구성: HTTP란? HTTPS란? SSL/TLS 대칭키 암호화 방식 vs 공개키 암호화 방식 SSL/TLS 통신 과정 SSL인증서 HTTP란? HyperText Transfer Protocal의 약자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토콜이다. (웹이 초기에는 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한 시스템이었기 때문에 통신 경로에서 정보를 감출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웹을 이용하는 범위가 확대되면서 입력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정보 기밀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생겼다. 그래서 나온 것이 HTTPS이다.) HTTPS란? HyperText Transfer Protocal Secure의 약자로, HTTP에 보안을 위해 SSL/TLS를 추가한 프로토콜이다. 그렇다면 SSL과 TLS는 무엇일까? SSL/TLS SS..
2022.12.18 블로그 변경
이전 블로그는 github.io였다. 그때 당시 나의 블로그 개설 목적은 공부한 내용 정리와 취업의 유리함이었다. 글을 적을때 마다 github에 잔디가 심어져서 성실함을 취업시에 어필하고자 했다. 하지만 아무리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고 다듬어 보아도 나의 글솜씨로는 한 번에 완벽한 글을 작성할 수는 없었다. 그렇다고 초안만 작성하고 나중에 고치려고하니, 작은 수정에도 커밋이 잡히는 번거로움이 존재했다. 그래서 부담없이 퇴고할 수 있고, 관리하기도 비교적 간편한 티스토리로 블로그를 이전하게 되었다. 복기와 퇴고가 생활인 나에게는 아무래도 티스토리가 제격인 것 같다. 이제부터 내수준에서 내가 돌아봤을 때 이해할 수있는 수준으로 글을 차근차근 작성해나가려 한다. 다른 블로그들처럼 대단한 내용과 짜임새 있는 글..